누가복음 15장 1-32절은 예수님께서 잃은 양, 잃은 드라크마, 탕자의 비유를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회개의 기쁨을 가르치신 본문입니다. 이 장은 "잃은 자를 찾으시는 하나님"이라는 주제로 유명하며, 당시 종교 지도자들의 비판에 대한 응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 장은 하나님의 잃은 자를 향한 무조건적인 사랑과 회개하는 자를 기뻐하시는 마음을 강조합니다. 특히 탕자 비유는 죄인의 회개와 하나님의 용서, 그리고 형제 간의 화해를 다룹니다.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의 비판(15:2)에 대한 예수님의 응답이기도 합니다.
본문 요약 (누가복음 15:1-32)
1. 배경과 도입 (1-2절)
- 세리와 죄인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러 모여들자,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이 사람이 죄인을 영접하고 함께 먹는다"며 비판합니다.
2. 잃은 양의 비유 (3-7절)
- 목자가 100마리 양 중 하나를 잃고 찾아 나서, 찾으면 기뻐하며 이웃과 함께 즐거워합니다. 예수님은 "회개하는 한 죄인"을 하늘이 기뻐한다고 하십니다.
3. 잃은 드라크마의 비유 (8-10절)
- 여인이 10드라크마 중 하나를 잃고 등불을 켜 찾아내어, 친구들과 기뻐합니다. 이는 "회개하는 한 죄인"에 대한 천사들의 기쁨을 비유합니다.
4. 탕자의 비유 (11-32절)
- 한 아버지의 두 아들 중 작은 아들이 유산을 요구해 떠나 방탕하게 살며 모든 것을 잃습니다. 돼지 치는 신세가 된 그는 회개하고 아버지께 돌아가며 "종으로라도 받아 달라"고 합니다.
- 아버지는 그를 환영하며 잔치를 베풀지만, 큰 아들은 불평합니다. 아버지는 "잃었던 아들이 살아 돌아왔다"며 기쁨을 설명합니다.

역사적 배경
1. 시기와 맥락
- 시기: 예수님의 공생애 후기(약 AD 29-30년), 갈릴리와 유대 지역을 다니시며 가르치던 때입니다. 누가복음 15장은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여정(9:51) 중에 나옵니다.
- 상황: 예수님이 세리와 죄인들과 교제하시는 모습은 당시 종교 지도자들에게 충격적이었고, 이는 그들의 비판을 불러일으켰습니다(15:2).
2. 사회적·문화적 배경
- 세리와 죄인: 세리는 로마를 위해 세금을 거두며 유대인들에게 매국노로 여겨졌고, "죄인"은 율법을 어긴 자(매춘부, 도둑 등)를 뜻했습니다. 이들은 유대 사회에서 배척받았으나 예수님은 그들을 품으셨습니다.
- 바리새인과 서기관: 바리새인은 율법을 철저히 지키는 종교 엘리트로, 죄인과의 교제를 부정으로 여겼습니다. 서기관은 율법을 해석하고 가르치는 학자였습니다.
- 가족과 유산: 탕자 비유에서 작은 아들이 살아 있는 아버지에게 유산을 요구한 것은 당시로선 큰 불경(신 21:17)이었고, 돼지를 치는 일은 유대인에게 극단적 타락의 상징(레 11:7)이었습니다.
3. 경제적 배경
- 양과 드라크마: 양 100마리는 중간 규모 목자의 생계 수단이었고, 드라크마(그리스 은화)는 하루 품삯(마 20:2)에 해당하는 소중한 재산이었습니다. 이를 잃고 찾는 노력은 당시 생존의 절박함을 반영합니다.
- 돼지와 이방 땅: 탕자가 돼지를 치던 "먼 나라"는 이방 지역을 암시하며, 유대인에게는 부정하고 멀리 떨어진 곳을 상징합니다.
4. 종교적 배경
- 회개와 구원: 유대교에서 회개(테슈바)는 죄를 뉘우치고 율법으로 돌아오는 것이었으나, 예수님은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강조하며 회개를 초대하십니다.
- 잔치의 상징: 잔치는 하나님 나라의 기쁨(사 25:6)을 나타내며, 잃은 자의 회복을 축하하는 공동체적 환영을 상징합니다.
묵상 포인트
1. 하나님의 찾으시는 사랑 (3-10절)
- 메시지: 잃은 양과 드라크마를 찾는 목자와 여인은 하나님께서 죄인을 끝까지 찾아 회복시키려는 사랑을 보여줍니다.
- 묵상: 내가 잃어버린 상태일 때도 하나님은 나를 찾으시는가? 내 주변의 "잃은 자"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을 어떻게 품을 수 있을까?
2. 회개의 기쁨 (7절, 10절)
- 메시지: 한 죄인의 회개가 하늘에 큰 기쁨을 가져옵니다. 이는 하나님의 구원 목적이 개인적 회복에 있음을 드러냅니다.
- 묵상: 내 회개가 하나님과 천사들에게 어떤 기쁨을 주는가? 회개를 미루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지금 돌아갈 용기가 필요한가?
3. 아버지의 무조건적 사랑 (11-24절)
- 메시지: 탕자를 기다리고 받아들이는 아버지는 하나님의 조건 없는 용서와 사랑을 상징합니다. 잔치는 그분의 기쁨을 보여줍니다.
- 묵상: 내가 하나님의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느낄 때도 그분은 나를 기다리시는가? 내 잘못을 품고 돌아갈 믿음이 있는가?
4. 형의 태도와 우리의 마음 (25-32절)
- 메시지: 큰 아들의 불평은 바리새인처럼 자격을 따지는 태도를 반영합니다. 아버지는 모든 자녀를 사랑하며 기뻤던 자와 함께 기뻐하길 원하십니다.
- 묵상: 나는 다른 이의 회복을 질투하거나 비판하지 않는가? 하나님의 은혜를 나만의 것으로 한정 짓지 않고 함께 기뻐할 수 있는가?
5. 복음의 초대 (전체)
- 메시지: 이 비유들은 죄인도 하나님께 돌아올 수 있다는 복음을 선포하며, 잃은 자를 찾으시는 예수님의 사명을 드러냅니다.
- 묵상: 내가 예수님의 초대에 응답하며 하나님께 돌아가고 있는가? 잃은 자를 찾는 그분의 사명에 동참하고 있는가?

나의 묵상
세상의 기준으로 의를 배풀었던 지난 날을 회개합니다.
어쩌면 그 잃어 버린 양 한마리가 나는 아니었는지 생각해봅니다.
나를 기쁘시게 받으실 주님을 기대하며 오늘도 저는 잃어버린 그 길을 다시 되돌아가 봅니다.
주님
내 마음에 성령님을 보내주세요.
읽어지는 성경
꿈꾸는 교회 - 김포 마산동
'매일성경 : 신약50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일차 물 위를 걸으시는 예수님 (마14:22-36) (0) | 2025.03.14 |
---|---|
11일차 오병이어의 기적 (눅 9:1 - 36) (0) | 2025.03.14 |
9일차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눅 10:25-37) (0) | 2025.03.14 |
8일차 씨 뿌리는 자의 비유 (마13:1-58) (0) | 2025.03.14 |
7일차 이렇게 기도하라 (마 6:5-15)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