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울6

41일차 사랑, 은사 사용의 원리 (고린도전서 1장 1-13절) 고린도전서 1:1-13은 상업적·문화적으로 번영했지만 도덕적·종교적으로 혼란스러운 고린도 도시에서 설립된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배경으로 합니다. 바울은 다양한 배경의 성도들 사이에서 발생한 파벌주의와 분열을 해결하고자, 그리스도 중심의 연합과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하며 편지를 시작합니다. 이 편지는 고린도 교회의 문제를 바로잡고 신앙의 본질을 재확인시키려는 바울의 목회적 노력의 일환입니다.인사와 감사의 말 (1-9절): 바울은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사도가 된 자신과 소스데네를 소개하며, 고린도 성도들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평강을 전합니다. 그는 고린도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받은 은혜, 지식, 은사 등으로 풍성함을 감사하며, 그들이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리는 동안 굳건히 지켜질 것을 확신합니다.교회의 분.. 2025. 4. 21.
38일차 복음과 함꼐 고난을 받으라 (디모데후서 2:1-26) 디모데후서 2장은 바울이 로마 감옥에서 순교를 앞두고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로, 에베소 교회의 거짓 교사 문제와 박해의 상황 속에서 디모데를 격려하고 복음 사역을 지속하도록 지침을 주는 맥락에서 쓰였습니다. 바울은 고난 속에서도 진리를 수호하고 거룩한 삶으로 하나님께 쓰임받는 일꾼의 자세를 강조합니다.강건하라 (1-2절): 바울은 디모데에게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은혜 안에서 강건할 것을 당부하며, 자신이 가르친 것을 충실한 사람들에게 맡겨 복음을 전파하라고 권면합니다.그리스도의 좋은 병사 (3-7절): 디모데에게 예수의 좋은 병사로서 고난을 감당하라고 촉구합니다. 병사, 경기자, 농부의 비유를 통해 집중, 규칙 준수, 수고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복음을 위한 고난 (8-13절): 바울은 복음을 위해 고난.. 2025. 4. 15.
♪ 여호와께 돌아가자 ♪내 백성이 나를 떠나 돌아섰지만내 사랑이 내 백성을 포기 못하니내 모든것 내어주고 나 그들을 얻으리라여호와께 돌아가자. 우리 돌아서도 그는 변치않네여호와께 돌아가자. 우리 넘어저도 그사랑 영원하네내 백성이 나를 떠나 돌아섰지만내 사랑이 내백성을 포기 못하니내 모든것 내어주고 나 그들을 얻으리라여호와께 돌아가자 우리 돌아서도 그는 변치않네여호와께 돌아가자 우리 넘어저도 그사랑 영원하네사랑은 오래참고 자신을 내어주네서로 사랑 할때 세상은 주보네사랑은 절대 지지않네사랑은 오래 참고 자신을 내어주네서로 사랑할때 세상은 주보네사랑은 절대 지지않네여호와께 돌아가자우린 돌아서도 그는 변치 않네여호와께 돌아가자우린 넘어져도 그사랑 영원하네여호와께 돌아가자우린 돌아서도 그는 변치않네여호와께 돌아가자우린 넘어져도 그사랑.. 2025. 4. 12.
36일차 감독(장로)과 집사의 자격 (디모데전서 3:1-16) 디모데전서 3장은 바울이 에베소 교회의 지도자 디모데에게, 거짓 교사와 이교 문화의 도전 속에서 교회 질서를 세우고 진리를 지키기 위해 작성한 지침입니다. 감독과 집사의 자격은 교회의 신뢰성과 도덕적 권위를 확립하기 위한 기준이었으며, 교회의 본질을 강조한 14-16절은 기독교 공동체가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진리를 드러내는 사명을 감당해야 함을 보여줍니다.감독의 자격 (1-7절): 감독(목회자 또는 교회 지도자)은 흠이 없고, 한 아내의 남편이며, 절제 있고, 신중하며, 단정하고, 나그네를 잘 대접하며, 가르치기를 잘해야 합니다. 술과 폭력, 돈을 사랑하는 태도를 멀리하고, 가정을 잘 다스리며, 교만하지 않고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평판을 받아야 합니다.집사의 자격 (8-13절): 집사는 진중하고,.. 2025. 4. 12.
30일차 담대하고 거침없는 하나님 나라(사도행전 25:1-28:31) 사도행전 25:1-28:31의 역사적 배경은 로마 제국의 지배와 유대의 정치적 긴장, 로마의 법률 체계, 아그립바 왕의 역할, 항해의 위험성, 그리고 초기 기독교의 확산이라는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맥락은 바울의 개인적인 여정뿐만 아니라 초기 기독교가 로마 제국이라는 거대한 무대에서 어떻게 자리 잡아갔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1. 바울의 재판 (사도행전 25장)바울은 유대인들의 고발로 인해 로마 총독 베스도 앞에서 재판을 받습니다.그는 자신이 무죄임을 주장하며, 로마 시민권을 활용해 로마 황제에게 상소합니다.2. 아그립바 왕 앞에서의 변론 (사도행전 26장)바울은 아그립바 왕 앞에서 자신의 회심 경험과 복음을 전하는 사명을 강력히 변론합니다.그의 말은 아그립바 왕에게 감명을 주었.. 2025. 4. 5.
23일차 스데반의 순교와 사울의 박해 (사도행전6:8-8:8) 사도행전 6:8-8:8은 스데반의 사역, 설교, 순교, 그리고 그로 인한 초기 교회의 박해와 복음의 확산을 담고 있습니다. 스데반의 순교는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그의 죽음이 복음 전파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구절들은 초기 교회가 어려움 속에서도 어떻게 성장하고 확장되었는지를 생생히 보여줍니다.  사도행전 6:8-15: 스데반의 사역과 체포이 구절에서는 스데반이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을 받아 큰 기적과 표적을 행하며 백성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모습이 묘사됩니다. 그는 신실하고 능력 있는 사역자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유대인들과의 논쟁에서 그를 이기지 못한 반대자들은 거짓 증인을 세워 그를 비난하고, 결국 스데반은 산헤드린(유대 최고 의회) 앞에 끌.. 2025. 3. 28.